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발간한 한국의 사회적경제 자료를 공유합니다. <목차구성> 1. 다양한 사회적경제기업 2. 사회적경제 인프라 3. 사회적경제 환경요소 출처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홈페이지(http://www.socialenterprise.or.kr/)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2022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지침을 공유합니다.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2021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지침을 공유합니다.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에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2020년 사회적 농업 활성화 지원사업 시행 지침을 공유합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사회적 농업의 혼종성과 사회 혁신 제3장 사회적 농업 실천과 사회보장사업의 연계 가능성 제4장 사회적 농업 활성화를 위한 협력 구조 형성 전략 제4장 결론 <요약문>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농업 활성화에 필요하다고 논의되는 다부문 간의 협력과 연계, 특히 정부 부처들 간의 협업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선행 연구 문헌을 검토하여 사회적 농업을 한국보다 앞서 활성화 시킨 네덜란드, 이탈리아 국가들에서 사회적 농업 및 관련 정책이 어떤 경로로 발전했는지를 살펴보았다. 다른 한편으로는 중앙행정기관 소관 사회보장사업들을 검토하여 현장에서의 다부문 연계와 협력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따져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사회벅 농업을 활성화 하려면, 중앙행정기관들이 협업해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를 제안하였다.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농촌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정책 지원 방안 연구 보고서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농촌 사회적경제의 기본적 이해 제3장 농촌과 사회적경제조직의 현황 제4장 농촌 사회적경제 정책 방향과 농정 제5장 농업협동조합의 역할 제6장 전달체계 및 제도 개선 과제 제7장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신규 사업 제안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농촌지역 사회적 경제 성공요인 분석 연구 <목차> 제1장 연구개요 제2장 농촌지역 문제와 사회적경제 제3장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활성화 사례 제4장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진단과 과제 제5장 농촌지역 사회적경제 성공요인 제6장 요약 및 결론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2019년~2020년 아일랜드 정부에서 지원하는 사회적농업 프로젝트에 관한 보도자료입니다. 농업식량해양 장관이 농촌혁신개발기금으로 사회적 농업에 대한 지원을 계속하겠다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출처 : 아일랜드 농식품 및 해양부 DAFM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사회적 농업가 양성 교육 프로그램의 지원자를 모집하는 공지 자료입니다. 농업과 사회적 포용, IEP 개발, 훈련 및 직업 배치, 레크리에이션과 삶의 질 교육, 일상 생활 서비스에 대한 교육을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합니다. 출처 : 교육전문기업 SIAPA(이탈리아)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농촌 지역의 사회 혁신의 출현과 발전에 있어 기관의 역할을 이탈리아와 네덜란드의 2가지 사회적 농업 사례를 통해 분석한 자료입니다. 사회 혁신은 농촌 지역의 사회적 도전과 요구를 해결하고, 현명하고 포괄적이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관련 개념으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출처 : Eurac Research
HOME > 관련자료 > 자료실